합판과 집성 목재 비교 2_집성 목재 / 집성목 (feat. 실내건축기사 시공 실무)
저번 포스팅에서는 합판과 집성 목재에 대한 차이점을 알기 위해 합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집성 목재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면!
집성목재는 두께 15~50mm의 판재를 여러 장 겹쳐서 접착시켜 만든것이다.
특징으로는
"첫 번째, 큰 단면 혹은 긴 부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두 번째, 필요에 따라 굽은 부재를 만들 수 있다."
"세 번째, 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네 번째, 필요한 단면을 만들 수 있다."
첫 번째 특징을 살펴 보자면, 집성목재에 대한 설명과 연결 될 수 있다.
판재를 여러장으로 이어서 길이를 늘린다거나, 여러장으로 쌓아서 폭을 늘림으로써 큰 단면, 긴 부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두번째 특징에서 필요에 따라 굽은 부재를 만들 수 있다는 뜻은 아치형 부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이 특징은 판재를 여러장으로 이어서 길이를 늘리는 첫번째 특징과 맞닿아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집성목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야하는데
나무를 켤때 나이테의 방향에 따라서 휘어짐이 다른 특성을 알아야만 한다.
목재를 A 사진의 흰 직사각형 모형으로 켠다면
잘려진 목재는 B 사진과 같이 휘어지는데 휘는 정도는 나무의 무늬결과 함수율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때 휨은 길이보다는 너비 쪽으로 휘거나 줄어든다. 즉 A사진과 같이 자르면 나이테 바깥쪽 넓이가 넓으므로
B사진과 같이 바깥쪽 넓이 방향으로 휜것이다.
이렇게 휜 목재를 여러장 이으면 아치형 부재를 만드는것이 가능하다.
세 번째로 목재의 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하다는 뜻은 집성 목재가 여러 장의 판재를 겹쳐서 만들어지는 점과 맞닿아있다.
즉, 세로로 쌓고 가로로 길이를 늘리면서 강도가 약해질수도 강해질수도 있다. 이는 인위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므로 쉽게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네 번째 필요한 단면을 만들 수 있다는 뜻은 응력에 따라 결정된다.
응력은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있는데,
판자를 세로로 쌓는다면 아래/위 접착면에 압축력이 작용 될것이고
판자를 가로로 잇는다면 양 옆 접착면에 응력이 작용 될것이다.
즉, 네 번째 특징도 결국 판재의 접착과 관련지어 이해하고 외울 수 있다.
저번 포스팅에서 합판은 섬유방향에 직교하도록 접착제로 겹쳐서 붙여 놓은 것이라고 했다.
여기서 합판과의 첫번째 차이점이 나타난다.
집성목재는 섬유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접착제로 접착시킨 것이다.
즉, 공통점은 길고 넓은 판재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지만, 접착 원리에서 각각의 특징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2019년도 3회 시공 실무에서 집성목재의 장점에 대한 문제가 나왔을만큼 알아둬야하는 사항이고
또한, 이를 비교하고 이해하면서 조금 더 쉽게 외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정보 이외의 글은 제가 단순히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적었습니다. 혹시나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꼭 댓글로 알려주세요!
참조: 2020 시공실무 실내건축기사 실기 단기완성 / 한솔아카데미
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52868&cid=67350&categoryId=67350
집성목재
[구조] 중국어 : 胶合叠板 일본어 : 集成材(shūseizai) 쪽나무의 섬유 방향을 서로 평행하게 하고 접착제를 써서 길이, 폭, 두께의 각 방향으로 집성 접착한 재료. 참고 : 건축구조용어사전, 대한건
terms.naver.com
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69710&cid=59928&categoryId=59928
목재의 변형
집성하기 전 판재의 변형에 대해 알아두면 유용하다. 같은 나무에서 켠 판재라도 나이테의 어느 방향을 켰느냐에 따라 휘어짐이 다르다.바깥쪽에 가까운 무늬결 판재일수록 나무의 함수율에 따
terms.naver.com
사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제가 만들었습니다!